블록 스토리지 확장을 위해서는 웹 콘솔의 확장 기능과, shell을 이용한 실제 용량 확장을 진행해야 합니다.
1. 가상서버에서 블록 스토리지를 해제 후 확장작업시 필요한 linux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용량 확장시 데이타가 삭제 되거나 유실 될수 있습니다. 작업전 백업을 꼭 하시고 작업 하시기 바랍니다.(기본)
CentOS/Rocky 사용시에, shell 에서 확장된 블록스토리지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cloud-utils-growpart" 패키지가 필요 합니다.
(1) "df -h" 명령어와 "mount | grep /dev/vdb1" 명령어를 이용하여 확장할 블록 스토리지 확인 합니다.
(2) "umount /data" 명령어로 블록 스토리지 해제 합니다.
(3) CentOS, Rocky 이미지를 사용할 시에 cloud-utils-growpart 패키지를 설치 합니다.
해당 패키지는 확장된 블록 스토리지 용량을 반영하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명령어 : "yum install cloud-utils-growpart"
2. 웹콘솔에 접속하여 블록 스토리지 확장 작업을 진행합니다.
"블록 스토리지의 용량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가상서버 연결을 먼저 해제해야 합니다."
(1) 웹콘솔 → 스토리지 → 블록스토리지 용량 확장 → "확장버튼" 클릭합니다.

(1) 웹콘솔 → 스토리지 → 블록스토리지 용량 확장 → "확장버튼" 클릭합니다.

(2) 블록 스토리지 확장 대상 에 용량을 입력 후 금액을 확인합니다.


(3) 확장된 블록 스토리지를 가상서버에 다시 연결합니다.

3. shell 에서 확장된 블록 스토리지를 확인후 "growpart" 명령어로 확장된 용량을 적용 합니다.

3. shell 에서 확장된 블록 스토리지를 확인후 "growpart" 명령어로 확장된 용량을 적용 합니다.

(1) growpart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a. lsblk 명령어로 확장할 블록스토리지를 확인합니다.
b. "growpart /dev/vdb 1" 명령어로 블록스토리지를 확장합니다.
c. lsblk 명령어로 확장된 블록스토리지를 확인합니다.
d. "mount /dev/vdb1 /data" 명령어로 블록스토리지를 마운트 합니다.
e. "xfs_growfs /dev/vdb1" 명령어로 섹터 변경.
f. "df -h" 명령어로 확장된 용량을 확인합니다.
a. lsblk 명령어로 확장할 블록스토리지를 확인합니다.
b. "growpart /dev/vdb 1" 명령어로 블록스토리지를 확장합니다.
c. lsblk 명령어로 확장된 블록스토리지를 확인합니다.
d. "mount /dev/vdb1 /data" 명령어로 블록스토리지를 마운트 합니다.
e. "xfs_growfs /dev/vdb1" 명령어로 섹터 변경.
f. "df -h" 명령어로 확장된 용량을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