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웹콘솔에서 가상서버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좌측메뉴 → 서버 → 가상서버 → 가상서버 생성하기
2. OS 이미지를 선택합니다.
(1) OS 이미지는 사용 중 변경할 수 없으며, OS 변경을 원할 시에는 가상서버를 삭제하고 다시 만들어야 합니다.
(2) OS 이미지 선택 → 새로 설치
3. 하드웨어 사양을 선택합니다.
(1) 제공되는 하드웨어의 사양을 사용 용도에 맞게 선택합니다.
(2) 선택된 하드웨어에 따라 시간별로 청구될 요금이 상이하며, 하드웨어 사양은 가상서버 생성 후에도 변경이 가능합니다.
4. 가상서버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1) 이름은 20자까지 지원이 가능하며, 영어, 숫자 및 특수문자 '-'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2) 생성 후에도 이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5. SSH 키페어를 설정합니다.
(1) 카페24 클라우드는 Shell의 접근을 위해서 SSH 키페어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2) 따로 접근 패스워드를 생성하거나 E-mail 등으로 보내드리지 않습니다.
(3) 가상서버에 SSH 키 페어를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 세가지가 있습니다.
a.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키페어를 사용
이전에 카페24 클라우드 콘솔에서 생성한 키페어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b. 사용중인 공개키를 등록
사용중인 키페어의 공개키를 등록하여 기존에 쓰던 개인키 파일로 가상서버에 접속 할 수 있습니다.
"등록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가상서버의 공개키는 콘솔 > 보안 서비스 > SSH 키페어 > 가상서버에 연결된 키페어 선택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해당 키페어의 공개키를 모두 복사합니다.
복사한 내용을 앞서 열어둔 공개키 입력창에 붙여넣기 합니다.
c. 새로운 공개키 생성
새로운 키페어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키페어의 이름을 등록합니다.
이름은 20자까지 지원이 가능하며, 영어와 숫자만 지원합니다.
개인키가 다운로드 받아지는 것을 확인합니다. 키페어를 사용한 로그인 방법은 다음 링크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SSH 키페어 사용법]
※ 주의사항 : SSH 키페어의 개인키는 분실 시 재발급이 불가능합니다. 잃어버리지 않도록 보관에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6. 공인IP를 할당합니다.
(1) 공인 IP 할당은 선택 사항이지만, 외부에서 가상서버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필요합니다.
(2) 공인 IP는 시간당 3원 과금됩니다.
(3) 공인 IP는 계정 당 최대 30개까지 할당 됩니다.
(4) 공인 IP 할당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a. 기존에 신청되어 있는 공인IP 할당
기존에 생성한 공인IP가 있는 경우 셀렉트박스로 선택합니다.
b. 새로운 공인IP 신청하고 자동 할당
기존에 생성한 공인IP가 없을 경우 선택합니다.
가상서버 생성과 동시에 새로운 공인 IP가 할당됩니다.
c. 가상서버 생성 후 공인IP 직접 할당
사설망 만을 이용해 가상서버를 이용하실 경우 해당 옵션을 선택합니다.
추후 공인IP 연동이 필요하면 '좌측메뉴 → 네트워킹 → 공인IP' 메뉴에서 연결 할 수 있습니다.
7. 방화벽을 설정합니다.
(1) 가상서버에 접근을 제어할 수 있는 방화벽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가상서버에 방화벽을 설정하지 않으면 모든 접근에 대해 닫혀 있습니다.
(3) 해당 설정 사항은 선택 사항이며, 가상서버 생성 후에 방화벽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방화벽 설정방법]
8. 블록 스토리지를 생성합니다.
(1) 블록 스토리지를 생성하여 추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2) 해당 설정은 선택 사항이며, 가상서버 생성과 함께 블록 스토리지가 연결됩니다.
- 블록 스토리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hell에서 연결 작업이 필요합니다. 다음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블록 스토리지 연결법]
(3) 다음 절차에 따라서 새로운 블록 스토리지를 만듭니다.
a. 생성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b. 용량을 설정합니다.
용량은 10GB 이상 1000GB까지 지원하며, 10GB 단위로 입력합니다.
설정된 용량은 생성 후 확장 기능을 사용하여 용량 확장을 할 수 있습니다.
9. 가상서버를 생성합니다.
선택한 하드웨어 사양과 블록 스토리지의 용량에 따라 시간당 과금액이 결정됩니다. 가상서버 생성 버튼을 눌러 주세요.
설정한 사항들을 확인 후 확인 버튼을 눌러 생성을 완료합니다.
10. 생성된 가상서버 정보를 확인합니다.
가상서버 대시보드에서 가상서버가 생성 완료 되었는지 확인합니다.